2012년 한국재무학회 추계학술대회 산학협동 연구발표

 

2012년 한국재무학회 추계학술대회의 산혁협동 연구발표는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의 참여로 신용평가산업의 윤인체계 문제와 수익모델과 자본시장에서의 신용평가정보 확대 필요성과 관련하여 2편의 실용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아래는 두 개의 발표논문이 요약 정리되어 있습니다.

<편집자 주>

 

• 일시: 2012년 11월 16일(금) 14:30~15:45

• 장소: 경북대학교 국제경상관 417호

≫ 신용평가산업의 유인체계 문제와

    수익모델에 관한 연구 

 

    - 강경훈 (동국대학교 교수)

      한재준 (인하대학교 교수)

신용평가제도는 기업어음, 회사채 등 특정 유가증권이나 특정채무의 원리금이 발행조건대로 상환될 정도에 대하여 신용평가회사가 분석․평가하고, 그 결과를 일정한 기호 즉, 신용평가등급으로 표시하여 투자자․금융기관 등 이해관계자에게 공시하는 제도이다. 신용평가회사는 기업 및 금융기관의 신용위험을 공시함으로써 자본시장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지닐 뿐 아니라 금융감독 목적으로도 사용되는 등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신용평가회사들이 구조화 증권의 리스크를 과소평가하거나 부실문제에 늑장 대응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노정함에 따라 최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처하여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 EU의 집행위원회, 국제증권관리위원회(IOSCO) 등은 신용평가회사에 대한 규제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즉, 미국과 EU의 신용평가회사에 대한 규율은 과거 시장자율 방식에 주로 의존하였으나 엔론 사태(Enron) 및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일반 금융회사에 준하는 감독체계로 전환되었으며, 그 방식 또한 양자가 수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신용평가를 의뢰한 채권 발행기업이 신용평가 수수료를 지급하는 수익 모델이 신용평가사의 도덕적 해이를 초래했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신용평가사 수익모델을 개선하기 위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용평가산업 역시 이러한 문제에서 벗어나 있지 못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신용평가업 수익모델 개선과 관련한 국제논의를 점

 

 

 

 

 

 

 

 

 

 

 

 

 

 

 

 

 

 

 

 

 

 

 

검하는 한편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신용평가업 수익모델을 중심으로 최근 신용평가부문 규제강화를 둘러싼 국제 논의와 국내 신용평가산업의 실정을 아울러 고려함으로써 향후 발전방향 및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국내 신용평가시장을 분석한 결과 등급쇼핑이나 등급 인플레이션 문제가 회사채시장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용평가산업 수익모델 개선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는 현재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이하 Dodd-Frank법)에서 SEC에게 도입 여부에 대한 사전 검토를 수행하도록 한 SEC. 939F의 모델(Franken Amendment)과 유사한 것으로 이러한 제도적 보완을 통해 신용평가사들에 대한 발행사의 압력을 약화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경쟁이 야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신용평가사들의 성과(performance)를 평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repository system을 통한 신용평가사의 비교평가제도 혹은 CRAAC 등과 같은 제도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EU 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의무적 순환제(mandatory rotation)는 등급쇼핑이나 등급인플레이션 문제를 차단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용평가사간 경쟁을 위축시킴으로써 중장기적으로는 동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어 도입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이처럼 신용평가산업의 수익모델을 근본적으로 개혁하는 노력과 함께 단기적으로 현재의 발행자 지급모형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다

 

≫ 자본시장에서의 신용평가 정보

    확대 필요성: 상장기업 신용등급이

    주식수익률 및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김유라 (국민대학교 교수)

      정병욱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황인덕 (한국기업평가 실장)

자본시장에서 금융투자는 투자자의 판단과 위험부담에 근거하여 결정되며 투자손익이 투자자에게 귀속된다. 따라서 투자자는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자본시장의 원칙이다. 자본시장에서 시장효율성이 충족되면 이러한 원칙은 원칙적으로 타당하다. 현실적으로 정보효율성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자원배분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완전시장의 형성은 제약되며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가 현재의 증권가격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되는 정보효율성이 충족되는 효율적 시장이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 환경 하에서 투자 대상 금융자산의 역선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유가증권 발행자의 재무 및 신용 상의 위험요인으로 발생하는 해당 발행기업의 부실화나 부도 등의 문제로 유가증권 가치변동에 따른 투자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상장기업의 부실화나 부도와 관련해 흔히 제기되는 비판은 금융감독당국, 자율규제기관, 거래소, 금융회사 등이 부도 직전에 실시된 유상증자 등의 자금조달에 대한 감시를 게을리 하고 정보의 공시나 분석정보의 생산이 취약하도록 방치함으로써 투자자보호에 허점이 있다는 것이다. 자본시장 규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투자자보호에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자본시장에서 시장효율성이 형성될 수 있는 환경이 제도적으로 확보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본시장의 정보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공시, 기업분석 등의 정보가 가격발견기능에 충분히 반영되어

 

 

 

 

 

 

 

 

 

 

 

 

 

 

 

 

 

 

 

 

 

 

 

 

투자자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감하고 금융기관, 기관투자자, 개인투자자, 신용평가사 등 시장참여자들이 정확하고 공정한 유가증권 가격형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자본시장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여 자본시장의 정보효율성 및 투자자보호 강화를 위한 신용평가사의 역할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즉, 자본시장에서 정보가 불충분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레몬시장 문제를 조명하고 상장기업의 신용등급 커버리지 문제, IPO시장 내 투자자보호 측면의 문제 가능성, 상장폐지기업의 급증에 따른 투자자 손실 발생가능성, 그리고 최근 이슈가 된 회사채 모집ㆍ주선에서의 신용평가의무제 폐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자본시장이 레몬 시장이 되지 않고 보다 효율적인 시장으로 발전하기 위한 토대로서 새로운 정보로서의 신용등급 활용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국내 자본시장에서 신용평가가 정보효율성을 제고시키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용등급이 주식수익률과 주가변동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2000년- 2011년 기간에 한국증권거래소 KOSPI시장과 KOSDAQ시장의 상장기업들이며 신용평가정보로 국내 신용평가 3사인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의 신용등급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상장기업에 부여되는 신용등급이 주가수익률을 일정 수준 상승시키고 주가변동성을 상당히 감소시켜 정보비대칭 하에서 역선택 문제를 완화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제반 결과는 국내 자본시장에서 추가적인 정보효율성 강화 기제로서 상장기업의 신용등급 의무화를 제시한다. 상장기업의 신용등급 의무화는 추가적인 투자자보호 메커니즘으로 기능할 것이며 더 나아가 자본시장의 변동성을 감소시키고 시스템리스크를 통제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